
Woman Descending a Stairway
Seoul, South Korea

Still on My Way
Heidelberg, Germany

First Class
Stuttgart, Germany

Together
Stuttgart, Germany

Hurry Up!
Stuttgart, Germany

Alone Together
Karlsruhe, Germany

Two of Us
Berlin, Germany

Eye Contact – Lust auf gute Unterhaltung
Berlin, Germany

Before Moonlight
Berlin, Germany

Our Time Is...
Seoul, South Korea

Summer Breeze – Fumigation
Seoul, South Korea

Brown Sky, White Silence
Seoul, South Korea

I Was Waiting for This Colour
Prague, Czech Republic

Surreal
Berlin, Germany

Moment in Blue
Prague, Czech Republic
Time Traveller
Binding the Fleeting and the Eternal
To be of everything is to be of nowhere. Adrift. As I traced the fading coordinates of my being on the threshold between here and there, I would quietly press the shutter. Photography was my only anchor. I saw landscapes where the flow of time was imperceptible, scenes that felt familiar. In those repeating clichés, I found a fleeting comfort, a silence like eternity.
This series begins by removing all temporal coordinates from outside the image, the captions. When only place remains to anchor the trace of existence, where does the captured presence accelerate: towards the fleeting or the eternal?
To me, photography often seems like the act of binding the absence of time and the span of eternity into a single loop. Moments like eternity, and eternities like a moment. On this loop, the questions of my own existence endlessly recur.
* * *
시간여행자
덧없음과 영원을 엮다
모두에 속하는 것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것과 같다. 이곳과 저곳의 경계에서 희미해지는 존재의 좌표를 더듬을 때면 조용히 셔터를 눌렀다. 사진은 나에게 유일한 닻이었다. 시간의 흐름을 가늠할 수 없는, 어디선가 본 듯한 풍경들. 그 반복되는 클리셰 속에서 나는 찰나의 위안이자 영원 같은 고요를 보았다.
이 연작은 사진에 붙들린 시간의 좌표를, 그 이름표(캡션)에서 지워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시간이 아닌 장소만이 존재의 자취를 붙들 때, 포착된 현존은 찰나와 영원 중 어느 쪽으로 가속할까?
내게 사진은 종종 시간의 부재와 영겁을 하나의 고리로 잇고 겹치는 행위로 보인다. 영원 같은 순간과 순간 같은 영원. 이 고리 위에서 나의 실존에 대한 물음은 끊임없이 되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