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2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2

Berlin, Germany, 2015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3

Seoul, South Korea, 2012

Seoul, South Korea, 2013

Berlin, Germany, 2017

Resurfaced
From Surface to Form to Memory

The city’s paved ground felt like the skin of the Earth. This thin surface, coated in artificial materials, bore the traces of wear from light, rain, snow, wind, human footsteps, and the wheels of vehicles. Etched into it was a process of weathering, where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tertwined. Perhaps, on the thin planes of paper and screen, I hoped to capture—not a world of elaborate perspective—but this flattened world, layered one upon another.

Then, it struck me that I hadn’t seen raw earth in the city for a long time—an environment where bare ground is hard to find outside of parks. A playful yet profound question arose: “In the future, will gravestones come to resemble these colourful pieces of flooring we’ve made?”

On a street in Berlin, I encountered a kind of ‘death’: a discarded cathode-ray tube TV. This bulky object, once symbolic of an era, now lay abandoned, stripped of its function and severed from its very meaning. I decided to build a quiet memorial for it. I selected a photo of the city floor whose colours matched the TV’s surroundings and fashioned it into a small, sharp-edged rectangular box. It was a tribute to a bygone era, and my own way of mourning a medium deeply rooted in my childhood memories.

The following two photographs are their final portraits, taken alongside this memorial. I captured the city floor in a photograph (a plane), constructed a memorial from it (a solid), returned it to the scene of death, and photographed it again (a plane). Through this ritual cycle, I contemplated the end of existence. I tried to linger in the ‘in-between’—on the boundary between what disappears and what remains, between life and death—to bear witness to the existence I had encountered.  
And ultimately, I realised that this entire process was yet another response to a question that has long lingered within me: “Why must we live?”
* * *
다시 떠오른 표면
표면에서 형태로, 형태에서 기억으로


도시의 포장된 바닥이 마치 지구의 피부처럼 느껴졌다. 인공 재료로 얇게 뒤덮인 표면 위에는 빛과 비,, 바람, 사람들의 발걸음과 차량 바퀴에 닳아 생긴 마모의 흔적이 새겨져 있었고, 그 속에는 자연과 인공의 요소가 뒤섞이는 풍화의 과정이 담겨 있었다. 어쩌면 나는 종이나 화면처럼 얇은 평면 위에 정교한 원근 표현보다 이와 같은 납작한 세계를 포개듯 담아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문득, 도시에서 흙을 본 지 오래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공원이 아니고서야 맨땅을 보기 어려운 환경. 장난스럽지만 의미심장한 질문이 떠올랐다. 미래의 묘비는 우리가 만들어낸 이 다채로운 바닥 조각들을 닮게 되는 건 아닐까?”

베를린의 어느 길가에서 나는 죽음과 마주쳤다. 버려진 브라운관 TV였다. 한 시대를 상징하던 이 육중한 사물은 이제는 제 기능을 잃고, 존재 의미로부터도 소외된 채 방치되어 있었다. 나는 그것을 위해 조용한 기념비를 만들어주기로 했다. TV가 놓인 주변 환경과 색이 어울리는 바닥 사진을 고르고, 그 사진을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작은 직육면체로 만들었다. 그것은 지나간 시대에 대한 헌사이자, 어린 시절의 기억에 각인된 한 매체에 대한 나만의 애도 방식이었다.

다음 두 장의 사진은 그 기념비와 함께 찍은 이들의 마지막 초상이다. 나는 도시의 땅바닥(평면)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그것으로 기념비(입체)를 만들어 다시 죽음의 현장에 가져다 놓은 뒤, 그것을 다시 사진(평면)으로 촬영했다. 이 순환의 의식을 통해 나는 존재의 끝을 곱씹었다. 사라지는 것과 남겨진 것, 삶과 죽음 사이의 그 경계 어딘가에 잠시 머물며, 내가 마주한 실존을 증명해 보려 했다.
그리고 결국에 이 모든 과정이 나에게 오래도록 머물던 질문, 우리는 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또 하나의 응답이었음을 깨달았다.

Memorial I
Berlin, Germany, 2016

Memorial II
Berlin, Germany, 2016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