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mewhere Between Paris and Seoul
Nowhere, Everywhere | 18:11:11

Sunset
Nowhere, Everywhere | 19:27:27

Like a Sunset
Nowhere, Everywhere | 21:36:10

You're Not so Unique
Nowhere, Everywhere | 14:15:20

Illusion
Nowhere, Everywhere | 02:05:46

Growing up With the Light
Nowhere, Everywhere | 12:49:22

The Sun Will Sink Into the Ocean
Nowhere, Everywhere | 23:01:53

Like Cherry Blossoms
Nowhere, Everywhere | 19:47:30
Nowhere, Everywhere
HH:MM:SS – 86,400 Ways of Being
Outside the image, the caption erases all ‘where’, leaving only a six-digit number. On a photograph stripped of location, this number – composed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HH:MM:SS) – simply testifies to the segmented flow of relative time, counted by the camera. A single slice of the sun’s cycle. Yet this moment carries no simultaneity. Even ‘four o’clock in the afternoon’, once separated from space, loses its absoluteness and scatters into infinite possibility.
What has been read, heard, spoken, recalled, and desired becomes visible. What is visible calls forth what will be read, heard, spoken, recalled, and desired. Do I assign meaning after seeing – or do I see in order to assign meaning?
Until I found them with my heart, they were nowhere.
Once I named them into being, they were everywhere.
86,400 possibilities.
This series explores the infinite unfolding of existence and relation within a finite day, arbitrarily divided into moments.
* * *
어디에도, 어디에나
HH:MM:SS – 86,400가지의 존재 방식
HH:MM:SS – 86,400가지의 존재 방식
이미지의 바깥, 캡션에서 ‘어디’를 지우고 오직 여섯 자리 숫자만 남긴다. 구체적인 장소가 사라진 사진에서 시, 분, 초(HH:MM:SS)로 이루어진 여섯 자리 숫자는 단지 카메라가 셈한 상대적인 시간의 흐름과 분절을 증명할 뿐이다. 한 토막으로 잘라낸 태양의 주기인 이 순간에는 동시성이 결여되어 있다. “오후 네 시”라는 시간도 공간에서 분리되는 순간, 절대성을 잃고 무한한 가능성 속으로 흩어진다.
읽은 것, 들은 것, 말한 것, 떠올린 것, 바라는 것이 보인다. 보이는 것이 읽을 것, 들을 것, 말할 것, 떠올릴 것, 바랄 것을 부른다. 나는 보고 나서야 의미를 부여하는가, 아니면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보는가?
마음으로 발견하기 전까지는, 어디에도 없었다.
존재로 이름 붙이자, 어디에나 있었다.
86,400개의 가능성.
이 연작은 임의로 분화된 유한한 하루 속에 무한히 펼쳐지는 존재와 관계를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