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Berlin, Germany, 2016

Sky Blue, Blue Sky
Jeju, South Korea, 2021

Dimensions
Jeju, South Korea, 2020

Sunset Coming On II
Jeju, South Korea, 2020

Faith
Jeju, South Korea, 2020

Relative Distance I
Berlin, Germany, 2019

Beyond Perspective

Unstaged everyday photography often finds itself confined by three characteristics: the existence (or past existence) of the subject, a time and place that can be somewhat specified, and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inscribed by optics. These attributes, though at times they can be the intrinsic constraints of the medium, are precisely where I seek new possibilities.​​​​​​​

This series quietly resists the conventional gaze of perspective that photography has long upheld. I sought not the image, but the relation; not documentation, but a subjective gaze; not representation, but the possibility of infinite interpretation.

A mingling of depth, a blurring of structure, a fading of reference

By twisting composition and arrangement, by inducing visual illusion, I deliberately erased or overturned the illusion of three-dimensional space. Depths were muddled, structures became ambiguous, and what was once real was rendered uncertain. And light and shadow, colour and texture, line and plane. These formal elements reconfigure themselves upon the flat materiality of paper and screen.

It certainly existed, but a scene held only in me. For me, photography is less about representing the world, and more about asking how I perceive it. A world beyond the real, another gaze, another way of being.
* * *
원근의 저편

연출하지 않은 일상 사진은 종종 세 가지 특성에 갇힌다. 피사체의 실재(혹은 실재했음), 특정되는 시공간, 그리고 광학이 새겨 넣는 전형적 원근법이 그것이다. 사진의 이러한 속성들은 때로 본질적인 한계가 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나는 그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왔다.

이 연작은 사진이 구현해 온 원근이라는 관습적 시선에 조용히 저항한다. 나는 이미지가 아닌 관계를, 기록이 아닌 주관적 시선을, 재현보다는 무한한 해석 가능성을 탐구했다.

깊이의 혼재, 모호한 구조, 희미해진 지시성

구도와 배치를 비틀고, 시각적 착시를 유도하며 3차원의 깊이감을 의도적으로 소거하거나 전복시켰다. 서로 다른 깊이는 뒤섞이고, 구조는 불분명해졌으며, 실재는 의심스러운 것이 된다. 그리고 빛과 그림자, 색과 질감, 선과 면. 조형 요소들은 종이와 화면이라는 평면적 물성 위에서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그곳은 분명히 존재했지만, 혼자 누린 광경. 사진은 내게 세계의 재현보다는, 세계에 대한 내 감각을 묻는 도구다. 현실의 저편, 또 하나의 시선, 또 하나의 존재 방식이다.
Back to Top